반응형
살풀이(이응수 작사 작곡) by 활주로
[ 승무 (이응수 작사 작곡) by 송골매 (3집 수록) ]
"살풀이" 는1979년에 학생 활주로(11기)가 79 MBC 대학 가요제 본선 무대에서 발표한 곡입니다.
이 노래가 수록된 당시 음반에는 작곡이 양윤주로 되어 있는데 양윤주는 참가팀의 기타리스트이고
팀 멤버의 창작곡인 경우 점수면에서 조금 더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쓸데 없는 걱정으로 그렇게 표기되었습니다.
[ 활주로(항공대) - 살풀이, 3회 MBC 대학가요제 1979/08/25 ]
[활주로11기 - 살풀이 1979 음반 발매 버전]
그리고 이 곡의 원래 작사 작곡 당시의 제목은 "승무" 입니다.
[ 송골매가 나중에 승무라는 타이틀로 발표했습니다(송골매 3집). ]
당시 대학가요제 참가시 제목이 좀 더 쎈게 좋겠다는 후배들의 의견에 그럼 무엇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이 곡을 쓸 때 참고했던 여러가지 자료들을 보고 곰곰히 생각한 결과 표현의 내용은 조금 다를 수 있지만 그 이미지가 가장 근처에 있다고 할 수 있는 "살풀이"로 정하게 된 것입니다.
승무와 살풀이가 어떻게 같은 노래가 될 수있느냐는 항의도 있겠지만 승무나 살풀이 춤이나 모두 궁중무용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것으로 그 뿌리가 같아서 의상과 내용은 조금 다르지만 사실 정적 동적 이미지가 비슷합니다.
항의하시는 분들의 심정은 충분히 이해하는데 당시 출전하는 학생들의 마음은 출전 곡을 어떻게 하면 좀 더 어필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많았기에 부드러운 발음과 이미지의 승무보다는 좀더 느낌을 세게 전달할 수 있는 살풀이로 정한 것이니 널리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구글에서 "승무, 살풀이춤"으로 검색하면 많은 자료가 나옵니다.
아래 내용은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 (한국학 중앙 연구원 홈페이지)의 "승무, 살풀이춤" 항목 설명입니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187
승무, 살풀이춤
수원 지방의 재인청(才人廳)에서 계승된 민속무용.
승무는 민속무용의 정수로 손꼽히며 불교의 교리의 입장에서 본 불교 기원설에서 유래하였다.
기원설이 여러 가지 전해져 내려 오고 있는데, 승무의 긴 장삼 소매를 잘 승화시킨 춤이다.
그 발달 과정은
첫번째로 소리 광대를 주축으로 부잣집 생일잔치에 초대되어 판소리나 승무를 추어왔으며,
두번째로 1905년경 우리 나라에서는 최초의 서구식 극장인 원각사가 세워져 광대나 기녀들의 판소리, 정재, 승무 등을 공연하면서 발전되어 온 것이다.
살풀이춤은 민속음악 가운데 살풀이라는 남도음악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며,
원래 무당들이 신을 접하기 위한 수단으로 추었던 춤인데, 훗날 광대나 기생들에 의해 교방예술로 발전되어 춤의 내용이 한층 예술적으로 다듬어졌고 아름다운 기법과 형식으로 계승, 발전되고 있다.
이 살풀이춤은 고운 머리에 비녀를 꽂고 흰저고리와 치마에 버선, 그리고 옷고름이 늘어진 의상과 하얀수건을 쥐고 추는 것이 특징이다.
수원에서의 승무·살풀이춤은 정조대왕(正祖大王)의 행궁(行宮)이ㅖ었던 화녕전(華寧殿)의 풍화당(風化堂) 내 재인청에서 계승된 것으로 조선 말 마지막 도대방(都大房) 재인청 재인의 우두머리였던 이동안(李東安)의 세습무(世襲巫)를 거쳐 현재 옥당(玉堂)정경파(鄭慶波)에 의해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 춤의 보유자인 정경파는 본래 충북 옥천 태생이지만 그의 선친을 따라 진주에서 살았는데,
진주권번에서 소리를 배워 오다가 한성준(韓成俊)·박성준에게서 춤과 창을 사사받았다.
그 뒤 화성재인청 출신인 김인호(金仁鎬)에게서 춤을 배워 당시 춤의 명인으로 이름이 나있던
이동안의 영향을 받아 승무·살풀이춤·타령·굿거리·검무·농악·신칼대신무 등을 사사받았다.
승무는 승려무용, 살풀이춤 또는 궁중무와 탈춤의 영향을 받아 교방예술로 발전된 것으로
경기형 승무의 특징을 이루는 한성준 계통의 춤사위와 남도살풀이춤을 겸비하여 전수하여
나름대로 독특한 수법으로 다듬어져 내려 오고 있다. 1991년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반응형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주로 16기 - 사랑의 회상, 1984 MBC 대학 가요제 (0) | 2023.03.22 |
---|---|
“마지막 선물”… 송골매, 4월 전국투어 앙코르 연다 / 3월 10일 티켓 오픈 (0) | 2023.03.05 |
탈춤 by 배철수+장기하 ~ 2023 KBS 설 대 특집 콘서트 (0) | 2023.02.13 |
송골매 40년만의 비행 ~ KBS 설 대기획 송골매 콘서트 (0) | 2023.02.12 |
써니, 대학밴드 활주로 50주년 기념 콘서트 특별출연 (0) | 2023.02.12 |